04_VMware로 가상머신 생성 및 설정하기 (Window 11)
Window Server 2019 가상머신 생성과 중복되는 부분의 캡처는 생략했습니다.
[Window Server 2019 가상머신 생성 보러가기]
1. 가상머신 생성
1.1. File - New Virtual Machine (Ctrl + N)
1.2. [설치 방식 선택] Custom (advanced) → 원하는 설정 선택 가능
1.3. [호환성 선택] 현재 사용하는 VMware workstation 버전 선택
협업 중에는 낮은 버전에 맞춰야 함
1.4. [OS 설치 방식 선택] CD / iso 파일 / 추후 설치 중 추후 설치 선택
CD → 서버는 주로 원격제어하기 때문에 사용 안함
iso → 중간에 라이선스 키를 물어봐서 귀찮아짐
1.5. [OS 선택] Microsoft Windows - Windows 10 and later x64 선택
1.6. [가상머신 이름 및 위치 설정] Window 11은 Template 없이 생성
1.7. [펌웨어 타입 선택] UEFI 선택, Secure Boot 체크
1.8. [프로세서/코어 선택] processor 1 - core 2 선택
운영체제/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지 않으면 늘려도 의미 없음
1.9. [메모리 선택] 4096MB → 설치 완료 후 2048로 줄일 예정
1.10. [네트워크 타입 선택] NAT 선택
1.11. [I/O controller 타입 선택] 권장사항 선택
1.12. [디스크 타입 선택] 권장사항 선택
1.13. [디스크 선택] Create a new virtual disk 선택
1.14. [디스크 용량 지정] 최대 용량 60GB, 동적 할당 설정(체크X), vmdk 파일을 1개로 관리
동적 할당
- 지정한 디스크 용량만큼 예약을 하지만 실제 사용분만큼만 용량 차지 → 효율적
정적 할당
- 지정한 디스크 용량만큼 모두 점유 → 성능은 좋으나 생성 시 시간이 많이 걸려 효율적이지 않음
vmdk single file (관리 > 이전)
- vmdk 파일을 1개로 관리 → 관리는 편리하나 데이터 이전 시 누락되면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함
vmdk mutiple file (관리 < 이전)
- vmdk 파일을 여러개로 분할해서 관리 → 손은 많이 가지만 데이터 이전 시 누락분은 따로 가져가면 됨
1.15. [가상 디스크 파일 확인]
1.16. [최종 확인 및 재수정]
2. 가상머신 실행
2.1. [CD 장착] iso 파일 선택, Connet at power on 체크(안 하면 CD 못 읽음)
2.2. [TPM]
2.2.1. Virtual Machine Settings - Option - Access Control - Encrypt...
2.2.2. Virtual Machine Settings - Hardware - Add - Trusted Platform Module(TPM) 선택 후 실행
2.3. [Windows 설치]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VMware를 클릭한 후 스페이스바 입력
2.4. [Windows 설치] 지금 설치 클릭 후 Windows 11 Enterprise 선택
2.5. [Windows 설치] 사용 조건 동의 후 설치 유형 사용자 지정 선택
2.6. [Windows 설치] 다음 클릭하면 자동으로 할당해 줌
2.7. [기타 설정] 국가 선택 - 한국
2.8. [기타 설정] 키보드 종류 선택 - Microsoft 입력기 - 두 번째 키보드 레이아웃 추가 건너뛰기
2.9. [기타설정] 네트워크 연결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 제한된 설치로 계속
2.10. [기타 설정] 사용자 입력 - 암호 미입력(비워두고 다음)
2.11. [기타 설정] 이후 나오는 항목은 모두 '아니요' 또는 '필수 요소만' 선택
2.12. [환경설정: 업데이트] 실행(Ctrl + R) - services.msc - Windows Update - 사용 안함
2.13. [환경설정: 방화벽] 실행(Ctrl + R) - control - Windows Defender 방화벽 - 고급설정
- 인바운드 규칙 -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코 요청 - ICMPv4-In)
도메인/개인,공용 모두 사용함
2.14. [환경설정: 전원옵션] 실행(Ctrl + R) - control - 전원옵션 - 설정 변경
- 디스플레이 끄기(해당 없음)
2.15. [환경설정: VMware Tools] VMware - VM - Install VMware Tools...
→ 각종 드라이버들이 포함되어 있음 (대표적으로 화면이 VMware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
2.16. [환경설정: 컴퓨터 이름] 실행(Ctrl + R) - sysdm.cpl - 변경 - 가상머신 이름과 동일하게 입력
2.17. [환경설정: 네트워크 설정] 실행(Ctrl + R) - ncpa.cpl - 네트워크 카드 확인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TCP/IPv4) - 아래와 같이 입력
2.18. [환경설정: 재부팅] 설정 반영을 위해 재부팅
2.19. [메모리 재설정] 메모리를 4096에서 2048로 재설정 (1.9.에서 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