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31_Network: Packet Tracer 사용 해보기

Joon D&K 2022. 4. 7. 14:11

1. Network 구성

2. IP 설정

3. Router 설정

 3.1. 대화 형식으로 설정할 것인가? no

 3.2. 최초 실행 시 사용자 모드(User mode)

사용자 모드 >

 3.3. 관리자 모드로 변경(Privilege mode)

관리자 모드 #
Router 설정 확인 (입력한 명령어 확인 가능)

 3.4. 전역 설정 모드로 변경(Global Configuration mode) : Router 전체에 설정을 미칠 수 있음

전역 설정 모드 (config)

 3.5. Router 이름 변경

 3.6. password 설정

평문 password 설정
암호화 password 설정
평문 password 암호화
(running-config) encryption 전
(running-config) encryption 후

 3.7. 명령어가 잘못 되어도 DNS에서 찾지 않도록 설정

관리자 모드에서 잘못된 명령어 입력시 DNS에서 검색 (Ctrl+Shift+6으로 중지)
설정
잘못된 명령어 입력 시 즉시 결과 제공

 3.8. console 접속 설정

(running-config) 관련 설정은 line con 0
console 접속 설정 모드 (config-line)
password 설정 후 login 기능 사용 설정
자동 로그아웃 미사용 설정 (미설정 시 15분만에 접속 끊김)
interface 등이 활성화 되어도 입력하던 명령어가 잘리는 것 방지 설정

 3.9. Gateway 설정 및 Interface 활성화

(running config) Gateway는 FastEthernet 0/0
Gateway 설정 모드 (config-if)
Gateway 주소 설정
Router는 기본적으로 꺼져있기 때문에 interface 작업 후 반드시 켜줘야 함

 3.10. Telnet 접속 활성화

(running-config) 관련 설정은 line vty 0 4
telnet 접속 설정 모드 (config-line)
3.8. console 접속 설정과 동일한 절차

 3.11. 저장 및 재부팅

  - write, reload 명령어는 관리자 모드에서만 사용 가능하나, do 명령어를 사용하면 어느 위치에서나 사용 가능

 3.12. Telnet 접속

3.10. telnet 접속 활성화에서 설정한 password 입력 후 로그인
관리자 모드 접속까지 완료

 ※ Router가 여러대인 경우?
 - Routing Table 설정 필요
  1. Static Routing

   · (config) ip route '상대 라우터 Network ID' '상대 라우터 Subnet Mask' '내 Interface'
   · (config) ip route '상대 라우터 Network ID' '상대 라우터 Subnet Mask' '상대 라우터 IP'
   * 후자의 방법이 업계 표준
  2. Default Static Routing
   · (config) ip route 0.0.0.0 0.0.0.0 '상대 라우터 IP'
 - # show ip route 로 확인

 

 

 

[실습 예제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