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T: 인프라(Infrastructure)

Joon D&K 2022. 9. 5. 15:35

https://sechpoint.com/it-infrastructure/

 

 IT에서 인프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필요한 모든 시스템 기반을 말합니다. 즉 서비스가 작동할 서버,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될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사용을 위한 네트워크 등의 총칭을 인프라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

 

 좀 더 개념적인 인프라의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네트워크, 운영체제, 미들웨어로 이루어집니다. 하드웨어(Hardware)는 서버 장비 본체, 데이터 저장을 위한 스토리지, 전원장치 등 물리적인 장비를 의미합니다. 네트워크(Network)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서버를 연결해주는 도구들입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하드웨어와 네트워크를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운영체제로는 Windows, MacOS와 같은 Client OS와 Linux, Unix, Windows Server와 같은 Server OS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들웨어(Middleware)는 서버 상에서 서버가 특정 역할을 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최근 인프라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온프레미스(On-Premise)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IDC(Internet Data Center)나 서버실에 서버를 두고 직접 관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온프레미스 방식의 경우,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이 크고 사용량에 대한 유연한 확장/축소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물리적인 장비를 둘 공간과 관리 인력, 노후화 등에 따른 관리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에 반해 클라우드(Cloud)는 쉽게 말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데이터 센터와 인프라를 보유한 Provider로부터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의미합니다.(이 때, Provider는 보통 CSP(Cloud Service Provider)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Amazon의 AWS, Microsoft의 Azure, Google의 GCP가 있습니다.) 클라우드 방식은 Provider가 물리적인 장비를 관리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고, 필요할 때 언제든(On-Demand),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Pay-as-you-Go)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방식은 IaaS, PaaS, SaaS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Faas, BaaS 등 더 많은 구분이 있지만 추후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다루겠습니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인프라를 서비스로써 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CSP(Cloud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인프라를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물리적인 장비를 제공해주는 호스팅 방식과는 달리 Instance라는 가상 서버를 몇 분 안에 제공을 받을 수 있으며, 쉽게 말해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모를 빈 집을 제공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쉽게 말해 빌트인 가전이 포함되어 있는 집을 제공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OS, WEB, WAS, DB와 같은 Platform이 포함된 인프라이므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배포에만 신경쓰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Google Docs와 같이 Software 관리는 신경쓰지 않고 서비스로써 사용만 한다는 개념입니다. 

 

 인프라가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변화하는 추세이고, 클라우드 환경에 다양한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항상 클라우드 환경이 온프레미스 환경보다 좋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면밀히 검토하여 가장 적합한 형태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기밀성이 높은 데이터의 경우 장비를 직접 소유하고 있는 온프레미스 환경이 더 안전할 수 있고, 트래픽을 예상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클라우드 환경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상용 서버는 온프레미스 환경에, 이벤트성 서버는 클라우드 환경에 구축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환경으로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후 포스팅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인프라 구성 요소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참고 포스팅

https://futurecreator.github.io/2018/11/09/it-infrastructure-bas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