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22_Linux: 패키지 관리②

1. Local Repository

 1.1. Local Repository?

  - yum 사용 시,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함

   → 인터넷 상에 구축되어 있는 repository에 yum을 통해 접근하여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

  -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한 환경에서는 yum 사용이 불가능하고, 인터넷 상 repo에 접근할 수 없음

   → 그렇다고 rpm만으로 설치하자니 의존성 문제 때문에 설치가 쉽지 않음

  - 따라서, 로컬 서버에 repo를 구축(Local Repository)하면 해당 repo 안의 패키지를 yum으로 손쉽게 설치가 가능

   → 이 때, yum의 기본 repo 정보를 로컬 서버의 repo로 변경해야 함 (아래 참고)

 1.2. 사용

  1.2.1. CD 교체 : 모든 패키지를 갖고 있는 CentOS7 everything 사용

Connected 체크

  1.2.2. /cd 디렉토리 생성 후 마운트

  1.2.3. local repo 디렉토리 생성 : CentOS7 everything의 모든 내용을 /repo로 복사

백그라운드 작업 (& 입력)

  1.2.4. rpm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파일 확인
rpm 파일 복사

  1.2.5. yum backup : 로컬 서버 repo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 repo 정보 이동

yum 사용 불가 확인

  1.2.6. 새로운 repo 정보 입력 : /repo를 local repository로 사용하기 위함

  1.2.7. createrepo 설치 : repo 저장소를 만들어 주는 패키지

rpm은 의존성 문제 발생
필요 패키지 먼저 순차적으로 설치

  1.2.8. 작동 test

createrepo 실행
local repository 설정 확인
yum 정상 작동 확인

  1.2.9. 초기화

repo 디렉토리, local.repo 저장소 삭제
저장소 원상복구
설치한 패키지 삭제
의존성 패키지도 별도로 삭제

 

 

 

[실습 예제 보러 가기]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_Linux: 프로세스 관리  (0) 2022.04.01
23_Linux: 패키지 관리③  (0) 2022.03.29
21_Linux: 패키지 관리①  (0) 2022.03.28
19_Linux: 디스크 관리③  (0) 2022.03.25
18_Linux: 디스크 관리②  (0) 2022.03.25